단백질 만드는 나노로봇 ‘눈앞’

단백질 만드는 나노로봇 ‘눈앞’

네이처, ‘분자기계’ 개발 25년사 조명

한 로봇이 트랙을 따라 움직이다가 잠시 멈춘다. 팔을 뻗어 앞에 놓인 부품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다. 로봇은 들어 올린 부품을 등으로 옮긴다. 그리고 등 위에 짊어지고 있는 정교한 구조물과 결합시킨다.

이 작업이 끝난 후에는 다시 앞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앞에서 한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로봇이 일하고 있는 라인이 수 나노미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로봇이 들어 올리고 있는 부속품은 ‘아미노산(amino acids)’이다.

로봇이 만들고 있는 것은 작은 ‘펩티드(peptide)’다. 두 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펩티드 방식으로 결합한 화합물을 말한다. 아미노산이 2개일 때는 ‘디펩티드’, 3개일 때는 ‘트리펩티드’, 4개는 ‘테트라펩티드’, 더 많은 아미노산을 연결한 것을 ‘폴리펩티드’, 혹은 ‘단백질’이라고 한다.

맨체스터 대에서 ‘분자기계’ 조립 중 

지난 주말 ‘네이처’ 지는 영국 맨체스터 대학의 화학자 데이비드 리(David Leigh) 교수 연구팀이 펩티드와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로봇을 개발 중에 있다고 전했다. 이 로봇은 지금까지 만들어진 ‘분자기계(molecule-scale machine)’ 가운데 가장 정교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20여년 동안 계속돼온 '분자기계' 연구가 최근 급진전되면서 불가능할 것처럼 여겼던 나노로봇 시대를 앞당기고 있다. 사진은 맨체스터 대학에서 개발한 '분바 머신'  모형도.

20여년 동안 계속돼온 ‘분자기계’ 연구가 최근 급진전되면서 불가능할 것처럼 여겼던 나노로봇 시대를 앞당기고 있다. 사진은 맨체스터 대학에서 개발 중인  ’분자기계 ‘ 모형도.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manchester.ac.uk/

‘분자기계’이란 나노 차원의 정교한 기계를 말한다. 세포 내에서 여러 가지 단백질들이 기능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처럼 조종할 수 있다고 해서 ‘분자 기계’란 이름을 붙였지만, 정확히 번역하면 ‘분자 크기의 기계’란 의미다.



기사 더보기

http://www.sciencetimes.co.kr/?news=%EB%8B%A8%EB%B0%B1%EC%A7%88-%EB%A7%8C%EB%93%9C%EB%8A%94-%EB%82%98%EB%85%B8%EB%A1%9C%EB%B4%87-%EB%88%88%EC%95%9E

0 Comments

Leave a reply

CONTACT US

We're not around right now. But you can send us an email and we'll get back to you, asap.

Sending

©2010-2024 Medicinal Bioconvergence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

Log in with your credentials

Forgot your details?